React 프로젝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webpack 설정 등 사전 작업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페이스북에서 만든 create-react-app
을 사용하면 손쉽게 설정이 완료된 리액트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많은 리액트 프로젝트들이 타입스크립트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타입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에 타입을 강제하는 언어입니다. 타입스크립트로 개발을 한 후, 자바스크립트로 빌드하는 방식인데, 타입을 지정함으로써 얻는 다양한 이점으로 인해 활용이 늘어가는 추세입니다.
저도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타입스크립트를 적용해보려고 했습니다. 기존의 리액트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하면 타입스크립트를 위한 설정을 추가적으로 해주어야 합니다. 초기에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옵션을 주면 손쉽게 타입스크립트가 적용된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생성하기
먼저, npm으로 create-react-app
을 설치합니다.
npm install -g create-react-app
-g는 전역으로 설치하겠다는 의미입니다. 현재 위치에서만 사용하려면, -g 옵션을 제외하고 설치하면 됩니다.
이제, 타입스크립트가 적용된 프로젝트를 다음 명령어로 생성합니다.
create-react-app ts-app --scripts-version=react-scripts-ts
새로 생긴 ts-app
디렉토리에 타입스크립트 리액트 프로젝트가 만들어집니다.
더 짧은 명령어도 있습니다.
create-react-app ts-app --typescript
두 방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해서 각각의 방식으로 생성 후 만들어진 결과물을 비교해보았습니다.
—scripts-version 방식
첫 번째 방식으로 생성한 경우, 아래와 같은 package.json
이 생성됩니다.
{
"name": "typescript-react-app",
"version": "0.1.0",
"private": *true*,
"dependencies": {
"react": "^16.8.6",
"react-dom": "^16.8.6",
"react-scripts-ts": "3.1.0"
},
"scripts": {
"start": "react-scripts-ts start",
"build": "react-scripts-ts build",
"test": "react-scripts-ts test --env=jsdom",
"eject": "react-scripts-ts eject"
},
"devDependencies": {
"@types/jest": "^24.0.13",
"@types/node": "^12.0.7",
"@types/react": "^16.8.19",
"@types/react-dom": "^16.8.4",
"typescript": "^3.5.1"
}
}
typescript와 관련된 라이브러리가 devDependencies
에 포함됩니다. 그리고, react-scripts
대신 옵션으로 준, react-scripts-ts
가 설치됩니다.
프로젝트에 tslint 설정파일과 tsconfig.json
이 생성되고, 자바스크립트로 생성한 프로젝트의 package.json
에 있는 browserslist
관련 설정은 없습니다.
—typescript 방식
typescript 옵션을 준 경우, 아래와 같은 package.json
이 생성됩니다.
{
"name": "ts-app",
"version": "0.1.0",
"private": *true*,
"dependencies": {
"@types/jest": "24.0.13",
"@types/node": "12.0.7",
"@types/react": "16.8.19",
"@types/react-dom": "16.8.4",
"react": "^16.8.6",
"react-dom": "^16.8.6",
"react-scripts": "3.0.1",
"typescript": "3.5.1"
},
"scripts": {
"start": "react-scripts start",
"build": "react-scripts build",
"test": "react-scripts test",
"eject": "react-scripts eject"
},
"eslintConfig": {
"extends": "react-app"
},
"browserslist": {
"production": [
">0.2%",
"not dead",
"not op_mini all"
],
"development": [
"last 1 chrome version",
"last 1 firefox version",
"last 1 safari version"
]
}
}
자바스크립트로 생성한 프로젝트에 타입스크립트 관련 모듈이 추가된 형태입니다. devDependencies
대신 dependencies
에 추가됩니다. tslint 설정파일도 생성되지 않습니다.
자바스크립트로 생성한 리액트 프로젝트
아무런 옵션 없이 프로젝트를 생성했을 때에는 다음과 같은 package.json
이 생성됩니다.
{
"name": "js-app",
"version": "0.1.0",
"private": *true*,
"dependencies": {
"react": "^16.8.6",
"react-dom": "^16.8.6",
"react-scripts": "3.0.1"
},
"scripts": {
"start": "react-scripts start",
"build": "react-scripts build",
"test": "react-scripts test",
"eject": "react-scripts eject"
},
"eslintConfig": {
"extends": "react-app"
},
"browserslist": {
"production": [
">0.2%",
"not dead",
"not op_mini all"
],
"development": [
"last 1 chrome version",
"last 1 firefox version",
"last 1 safari version"
]
}
}
—typescript
방식과 비슷합니다.
글을 마무리하며
두 방식에 큰 차이가 없어 편안한 방식이나 원하는 결과물을 내는 방식을 선택해서 사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이제 타입스크립트를 적용한 프로젝트를 만들어보며 타입스크립트의 장점을 몸소 느껴봐야겠습니다 :)